NIA 인터넷 속도측정 무료로 하는법 통신사 상관없이 회원가입없이 핑이란?
본문 바로가기
뉴스

NIA 인터넷 속도측정 무료로 하는법 통신사 상관없이 회원가입없이 핑이란?

by bluemoon77 2020. 5. 23.
반응형

NIA 인터넷 속도측정 무료로 하는법  통신사 상관없이 회원가입없이 핑이란?

온라인개학이후 집에서 인터넷 쓸일이 많아서일까요?
속도가 확연히 느려지는 느낌이 들었어요.

그래서 측정해봤습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지원하는 NIA 스피드 인터넷 속도측정.

검색창에서 인터넷 속도측정 or NIA라고 검색하시면 바로가기 링크가 뜹니다.

http://speed.nia.or.kr/index.asp

 

NIA 스피드 인터넷 속도측정

 

speed.nia.or.kr

노트북, 탭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사이트에서 속도를 측정할 수 있어요.
휴대폰에서는 앱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속도측정을 할 수 있어요.
본인의 인터넷 통신사 선택사양에 따라서 평균적인 이용자의 속도와 비교가 되서 사용하고있는 통신사 상품만큼 속도가 나오는지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NIA 인터넷 속도측정 무료로 하는법  

먼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합니다.

1.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 선택할수있어요. 순서대로 사용자 이용약관에 동의하세요.

NIA 인터넷속도 무료측정

2.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됩니다.

NIA 인터넷속도 무료측정

3. 본인의이 사용중인 인터넷 통신사 사양과 지역을 선택하여 측정을 시작합니다.

 다운로드 속도먼저 측정후, 업로드 측정으로 넘어가고,세번째  지연속도까지 측정합니다. 멈출때까지 기다려주세요.

NIA 인터넷속도 무료측정

4. 저희집은 kt 500Mbps 요금제상품을 사용중입니다.

그리고 무선인터넷 공유기(와이파이)를 달아서 쓰고있어요. 모뎀의 위치와 데스크탑 위치가 너무 멀어서죠.
당연한 말이지만, 무선의 경우 네트워크 신호 장애, 벽, 신호간섭 등의 요인속도가 저하 됩니다.
속도가 불만이시라면 가급적 랜선을 이용해서 사용하기를 권합니다.

먼저 , 모든 식구들이 핸드폰과 탭과 컴퓨터를 쓰고있을때 측정해봤습니다.

헐.. 너무 느리네요. 1/10의 속도 안나오다니요.

상단메뉴에 있는 측정통계를 보면 본인이 사용중인 통신사 이용제품의 평균 속도를 볼수있어요.

이론상 100Mbps 이면 ,실사용측정속도로는 60~80% 즉 60Mbps 전후가 나와야 정상이고, 500Mbps이면, 300Mbps이상은 나와야 정상입니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저희집 특성을 감안해도 너무 안나오네요.

 

식구들에게 스마트폰과 탭 사용을 멈추게 하고 다시 측정해봤어요. 

그래도 너무 느립니다. 다운로드 43.68Mbps 나오네요.

이번엔 갤럭시 탭을 이용해서 와이파이 속도를 측정해 봤습니다.

오히려 와이파이 속도는 평균은 나오네요.

 

다음날, KT 기사님께 상황을 말씀드리고 A/S를 요청했어요.

비싼 요금 지불한 것에 비해 속도가 최악인 상황이니까요.
KT기사님도 NIA측정결과치가 신뢰할만 정보이니 알아보겠다 하시네요.
10분뒤 재측정해보니 놀라운 일이 벌어지네요.


확실히 다운로드 올라간 수치가 보이시죠? 하지만 여전히 업로드 속도 안나오고 ,느립니다.

지연속도 또한 7.23ms로 측정되었어요.

https://www.speedtest.net/

 

Speedtest by Ookla - The Global Broadband Speed Test

Test your Internet connection bandwidth to locations around the world with this interactive broadband speed test from Ookla

www.speedtest.net

또다른 인터넷 속도 측정사이트인 스피드테스트(speedtest)를 이용해서 측정해봤어요.

다운로드는 114.45, 업로드는 117.56, 지연속도 즉 핑은 6ms가 나왔습니다.

 

스피드테스트 인터넷속도측정

측정결과 종합평가

측정결과를 종합해본다면, 측정사이트에 따라, 측정시간에 따라, 측정시 인터넷 사용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수있습니다.  사용중인 통신사별 요금제에 비해 속도가 너무 안나오고 있다면 속도향상 A/S를 신청하셔야됩니다.


KT쪽에서는 '데이터를 쏴주었다'는 표현을 쓰셨는데, 속도향상을 위한 조치를 취한듯 보입니다.
이웃님들 인터넷 속도가 느리다고 느껴진다면 우선 눈으로 확인부터하고 요청해보세요~
힘들지않게 속도를 향상시킬수 있답니다.

게임을 방해하는 지연속도, 핑이란 무엇일까?

핑이랑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PC와 서버 사이의 지연시간이 짧다는 것이에요.

서버와의 전달되는 속도가 짧아서 빠르면 빠를수록 렉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죠.

보통 핑의 속도가 0.01~0.05초(10~50ms) 정도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지각하기 어려운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핑이 100ms 이상, 즉 0.1초라는 지연은 인터넷 사용하는데 있어서 꽤 지장을 받을수 있어요.
1MS는 0.001초입니다. 예를들어 7.23ms 라면  0.00723초 마다 서버와 나의PC 와의 전달 속도를 보여주는 것이죠.

사람이 느끼지 못할 정도의 속도인것 분명하지만, 컴퓨터란 원래 상상초월 단위로 움직이는 녀석이니 지연속도(핑)가 10MS 넘어갈때 부터는 점검 받는쪽이 좋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